전체 글 24

파이썬의 자료형

(1) 숫자형 기본적인 사칙연산에 대해서는 잘 아실테니 간단하게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첫시작으로 나머지와 거듭제곱에 대해서는 살펴보도록 할건데요 나머지 연산은%로, 거듭제곱 연산은 **로 합니다. ex) print(9%4)를 하게되면 9를 4로 나누어서 남은 나머지의 값이 나오게 됩니다. 1이 출력되죠. ex) print(8**2)는 8^2과 같습니다. 8을 두번곱했다는 뜻이고 64라는 값이 출력되게 됩니다. 또한 살펴보려 하는 내용중에 나눗셈 연산이 있는데요. 정수형이든 소수형이든 어떻게 하든간에 나눗셈의 결과는 항상 소수형으로 나옵니다. ex) print(8 / 2)를 계산하는 코드가 있을때 8대신 8.0, 2대신 2.0을 대입하고 8/2 8/2.0 8.0/2 8.0/2.0 모두 4.0 이라는 결과..

파이썬 2021.06.25

파이썬의 기본개념(print,코멘트,자료형,추상화)

c언어를 사용해보다가 파이썬도 같이 병행하여 공부해보자 하여..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되게 여러모로 간편하면서도 가벼운 친구더라구요 이 파이썬이라는 친구가 ㅎㅎㅎ. 기본개념들부터 하나하나 자세히 살펴보려합니다. (1) print c언어에서의 printf는 파이썬에서 print로 사용됩니다. 문자열, 숫자를 출력한다는것은 동일합니다. print("Hi there!") 혹은 print('Hi there!') 을 입력하면 Hi there! 이라는 문자열이 출력이 됩니다. 또한 print 내에서의 사칙연산의 결과도 계산되어 나오는데요. print(12) 라 하면 12라는 값이 출력이되지만 이 외에도 print(3*4), print(7+5), print(36/3) 을 하여도 12라는 값이 출력이 됩니다. 파이썬 ..

파이썬 2021.06.24

정수 자료형

자료형크기범위비교 정수 자료형 비트(바이트) 크기 범위 Range int 생략 여부 char signed char 1바이트, 8비트 -128~127 unsigned char 1바이트, 8비트 0~255 short short int 2바이트, 16비트 -32,768~32,767 int 생략 O unsigned short unsigned short int 2바이트, 16비트 0~65,535 int 생략 O int signed int 4바이트, 32비트 -2,147,483,648~ 2,147,483,647 unsigned unsigned int 4바이트, 32비트 0~4,294,967,295 int 생략 O long long int signed long signed long int 4바이트, 32비트 -2,1..

c언어 2021.06.23

변수

(1) 변수 선언하기 변수를 선언할때는 명령어 int(integer를 축약한 단어)를 사용하고 변수이름을 같이 선언하여 줍니다. int는 자료형이고 int numN (N은 대체로 정수,int num1, int num2같이)의 형식으로 일반적으로 선언합니다. 변수 이름을 선언할 떄 지켜야 하는 규칙들이 있습니다. 대소문자 구분하기. 문자부터 시작하기. _(밑줄문자)로 시작하지 않기. c언어에서 사용하는 자료형의 종류를 수의 범위에 따라서 정리해보았습니다. char, short, int, long 정수 float, double 실수 void 형태가 없는 자료형 (포인터,함수 반환값) (2) 변수에 값 저장하기 #include int main() { int num1; int num2; int num3; num..

c언어 2021.06.22

c언어의 기본 문법 정리

1) 구문의 끝에는 항상 ;세미콜론을 붙여줍니다. 일반적인 문어체에서 문장의 끝을 .점으로 마무리 하는것처럼 코딩의 구문도 ;로 마무리 해주는겁니다. 1) -1 대신 내용이 끊어지지 않고 계속 이어지는 문법은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다가 내용이 끝나게 되면 그때 붙여줍니다. ex) if (a > 10) { printf("a"); } for (int i = 0; i < 10; i++) { printf("Hello, world!\n"); } 1)-2 계속 이어지는 문법 코드들이지만 그럼에도 for에 임의로 ;세미콜론을 붙여주었다면 반복문이 실행되지 않고 딱 한 번만 출력이 실행됩니다. 2) 사람은 알아보고 프로그램은 알아보지 못하게 작성하는 코드를 주석이라 부르고 프로그램이 알아보지 못한다는 뜻은 주석부분은 절..

c언어 2021.06.20

printf 함수의 문자열 출력하기(+ 기초 헤더파일,main함수,서식지정자 %s)

(1) printf #include int main() { printf("Hi there! \n"); return 0; } (1)-1 pritf는 문자열을 출력해주는 함수 입니다. 문자열은 "" 안에 포함되어있는 단어나 문장을 의미하죠. (1)-2 비단 printf뿐 아니라 int 옆에 선언되어 있는 main역시 함수인데요, 단어의 뒤에 ()와 같은 괄호들이 붙어 있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ex) main() 괄호 printf("xxxxx"); 괄호 (1)-3 ;(세미콜론) 은 함수를 호출해주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다시 말해서 ;가 붙어야지 함수가 제대로 실행된다는 뜻 입니다. ;을 붙이지 말아야 할 곳에 붙이게되면 실행되지 말아야 할 명령어가 실행되는 경우도 생깁니다. ex) If 조건문 #includ..

c언어 2021.06.18

부자아빠 가난한아빠 (2)- 반드시 함양해야할 금융IQ

로버트 기요사키 작가가 제태크라는 수단을 통해서 부를 축적하는 향방으로 나아가고 싶다면 반드시 함양해야하고 능력을 개화시켜야 할 금융지식이 4가지가 있다고 말하였는데(궁금하쥬? ㅋㅎㅋㅎㅋ) 1. 회계 : 재무를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이고 숫자를 이해하는 능력이기에 돈의 흐름을 파악하고 처세하려면 이에 관한 지식을 알고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물론 기요사키 작가도 이 회계능력이 뛰어났기 때문에 투자를 함에 있어서 시너지로 작용한것은 지당한 사실이다. 2. 투자 : 돈이 돈을 버는 방법으로서 재테크의 본질과 같은 내용이다. 검투사에게 있어 검과 같은 존재인데 부동산이든 채권이든 주식이든 여러가지 툴이 있으니까 입맛에 맞게 취향에 맞게 취사선택 하면 될 것 같다. 당연히 저축을 투자로 여기진 않았다. 저축도 좋..

북리뷰 2021.01.21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1) - 내 돈에 대한 인식을 바꿔준 계기

주변에서 추천을 참 많이 해 주었던 책이었던 부자아빠와 가난한 아빠. 제목에서부터 부가 축적되는 사람과 가난이 지속되는 사람의 차이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지 않을까 생각이 되서 읽게되었고 주변에서 이 책을 왜 추천을 많이 해주었는지 이해가 갔다. 돈에 대한 인식을 바꿔주었다. 어떤것이 재산이고 어떤것이 부채인지 명확하게 알려줘서 어떠한 향방대로 나아가야 부를 축적하기에 더 수월하고 적합한지에 대해서 작가는 설명해 주었다. 가난한 사람들과 중산층인 사람들은 돈을 위해 일을 하지만 부자들은 돈이 자신을 위해 일하게 한다는 문장에 나는 극히 공감하는 바이다. 실제로 나는 주변에서 돈이 좀 많다, 재테크를 잘한다 하는 사람들을 여러군데에서 만나서 자문을 구하곤 했었는데 부자들은 돈을 굴려서 더 큰 돈을 버는 ..

북리뷰 2021.01.17

퀸텀독서법(2)

저번에 독서의 중요성 독서에 관한 시시콜콜한 얘기들을 자자구구 설명하다가 오늘되서야 제대로 된 리딩트레이닝에 관하여 술회하게 되었는데.. 이게 음 솔직히 되게 획기적인 방법으로 보이는 내용도 있고 음.. 과연?? 하면서 여겨지는 부분들도 있고 작가님이 말씀하신대로 여러 메소드 들이 있고 본인에게 잘 맞는 본인이 하고싶은 방법대로 트레이닝 하면 된다고 말씀하셨으니 그대로 하면 될 듯 하다. 1.우뇌 자극 스킬 좌뇌 위주의 독서방식에서 벗어나서 우뇌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트레이닝 방식이라고 한다. 왼 쪽 눈으로만 책을 읽게 되면( 다시 말해 오른 쪽 눈을 감는 방법) 우뇌를 자극하게 되는데 이는 책을 넓게 보는 능력을 길러 준다고 한다. (반대로 오른 쪽 눈으로만 읽으면 좁은 부분을 자세히 보는) ..

북리뷰 2021.01.06

퀀텀 독서법 (1)

주로 내 학교 필독도서들 위주로 읽고 북리뷰를 쓰다가 예전부터 읽고 싶어서 벼루고 있었던 책을 찾았다 ㅠㅠ. (INU 흠흠..) 모처럼 독후감과 관련 없는 자유롭고 가벼운 느낌의 리뷰로 오늘은 글을 올려보려 한다 ㅎㅎㅎ 김병완 작가님은 원래 엔지니어 및 연구원 출신으로 활동을 하시다가 다독의 과정을 거치시면서 이 책을 발간하시게 되었는데 이 책 안에 3년 동안 1만 권 이나 되는 분량의 책을 읽으셨다고 하셔서 책을 통해 많은 지식과 지혜를 얻고자 하고 부업으로 블로그도 운영하려고 하는 내게 있어서 대학교 필독리스트엔 없는 나만의 필독서라 생각하여 읽게 되었다. 먼저 현재 대한민국과 그 국민들이 국면하고 있는 처참한 독서 현황에 대해서 설명하셨다. 원래 조선이라는 나라는 예로부터 선비들이 독서함을 중시여겼..

북리뷰 2021.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