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rintf
#include <stdio.h>
int main()
{
printf("Hi there! \n");
return 0;
}
(1)-1 pritf는 문자열을 출력해주는 함수 입니다. 문자열은 "" 안에 포함되어있는 단어나 문장을 의미하죠.
(1)-2 비단 printf뿐 아니라 int 옆에 선언되어 있는 main역시 함수인데요, 단어의 뒤에 ()와 같은 괄호들이 붙어 있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ex) main() 괄호 printf("xxxxx"); 괄호
(1)-3 ;(세미콜론) 은 함수를 호출해주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다시 말해서 ;가 붙어야지 함수가 제대로 실행된다는 뜻 입니다.
;을 붙이지 말아야 할 곳에 붙이게되면 실행되지 말아야 할 명령어가 실행되는 경우도 생깁니다.
ex) If 조건문
#include <stdio.h> 에서 #include는 헤더파일을 포함하는 문법이며 여러가지 종류의 헤더파일들이 있습니다.
(1)-4 <c언어 기준 자주 사용되는 헤더파일들>
stdio.h
time.h
math.h
stdlib.h
string.h
우리는 그중에서도 printf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 stdio.h 헤더파일을 사용하였습니다.
-1 main함수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c언어 프로그램들은 항상 main()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꼭 main()을 선언해주어야 합니다.
return 0; 은 반환값입니다.
(2) 서식지정자
#include <stdio.h>
int main()
{
printf("%s\n", "Hi there!");
return 0;
}
결과 : Hi there!
2)-1 서식지정자는 printf로 문자열을 출력할 때 변수를 사용하여 동일한 단어 및 문장을 중복하여 출력하거나, 형태를 바꿀 때 사용하는 문법입니다.
ex) printf(“%s\n”, “Hi there!”);
2)-2 서식지정자를 두 번 사용하여 서로 다른 내용을 출력 할 수도 있습니다.
ex) printf(“%s %s\n”, “0000”, “9999”); >>>> 0000, 9999 출력
2)-3 %s사이에 컴마를 넣으면 그 넣은 수 만큼 같이 출력이 됩니다. %s를 서로 붙여 사용하면 출력결과 또한 붙여서 나오게 되고 문자열 안에 공백이나 컴마를 넣으면 그 내용 또한 출력됩니다.
'c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수 자료형 (0) | 2021.06.23 |
---|---|
변수 (0) | 2021.06.22 |
c언어의 기본 문법 정리 (0) | 2021.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