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변수 선언하기
변수를 선언할때는 명령어 int(integer를 축약한 단어)를 사용하고 변수이름을 같이 선언하여 줍니다.
int는 자료형이고 int numN (N은 대체로 정수,int num1, int num2같이)의 형식으로 일반적으로 선언합니다.
변수 이름을 선언할 떄 지켜야 하는 규칙들이 있습니다.
- 대소문자 구분하기.
- 문자부터 시작하기.
- _(밑줄문자)로 시작하지 않기.
c언어에서 사용하는 자료형의 종류를 수의 범위에 따라서 정리해보았습니다.
- char, short, int, long 정수
- float, double 실수
- void 형태가 없는 자료형 (포인터,함수 반환값)
(2) 변수에 값 저장하기
#include <stdio.h>
int main()
{
int num1;
int num2;
int num3;
num1 = 1;
num2 = 2;
num3 = 3;
printf("%d %d %d\\n", num1, num2, num3);
return 0;
}
int 자료형 옆에 변수 이름을 각각 num1, num2, num3을 선언하였습니다. 서로 다른 3개의 변수가 선언된 상태이고 (서로다른 자연수로 구별되어 있으니까요!) 각 변수에 정수값을 할당하였습니다.
num1에는 1, num2에는 2, num3에는 3이라는 값이 들어가 있습니다.
이를 printf함수를 사용하여 %d로 출력하면 각각 1, 2, 3 이라는 값들이 결과로 나옵니다.
저 %d는 10진수를 출력할 때 사용하는 서식 지정자인데 저번에 공부했던 서식 지정자 기억하시죠?
%s는 문자열 string을 줄인 말이고 %d는 십진수 decimal을 줄인 말입니다!
아 맞다, 그리고 변수를 선언하고 값들을 할당할때 ;(세미콜론) 빼먹으면 안되는거 아시죠??
자 추가로 = 기호는 할당할 때 쓰는것임을 우린 살펴보았습니다. 추후에 if문을 배울 때 ==라는 기호가 나올거에요. ==가 수학에서의 = 입니다. 다시말해 같다,이다 라는 의미이죠.
(3) 변수를 다중으로 선언하여 할당하기
변수를 각각 한개씩 선언해서 값을 할당해주는것을 저번시간에 배웠는데용 이번에는 한 번에 변수를 다 같이 선언한 후에 정수값을 할당하겠습니다.
#include <stdio.h>
int main()
{
int num1, num2, num3;// 하나의 int자료형 안에 3개의 변수가 컴마로 구분되어 선언됨
num1 = 1; // 변수에 값 할당, 할당할때는 각각 하나씩 값을 넣어주었다.
num2 = 2;
num3 = 3;
printf("%d %d %d\\n", num1, num2, num3);
return 0;
}
저런 방식으로 변수 여러개를 선언하였고 값은 1,2,3이 출력됩니다. 세미콜론 제일 뒤에 꼭 붙여주세요.
(4) 변수를 선언하면서 할당하기(초기화)
#include <stdio.h>
int main()
{
int num1 = 1;
int num2 = 2;
int num3 = 3;
printf("%d %d %d\\n", num1, num2, num3);
return 0;
}
int로 자료형을 선언하면서 옆에 numN에 1,2,3 이라는 값을 바로 할당하였습니다. 다시말해 변수를 선언하자마자 값을 할당하여 초기화 한 것이지요. 세미콜론은 국룰이니까 꼭 붙여주시구요 ㅎㅎ
int num2 = 2, num3 = 3;
이러한 방식으로 변수 여러개를 한 번에 선언하면서 바로 할당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끔찍한 혼종입니다.
'c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수 자료형 (0) | 2021.06.23 |
---|---|
c언어의 기본 문법 정리 (0) | 2021.06.20 |
printf 함수의 문자열 출력하기(+ 기초 헤더파일,main함수,서식지정자 %s) (0) | 2021.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