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4

파이썬 데이터

(1) Aliasing 파이썬에서 어떤 값을 변수에 저장하면 그 값에 이름표를 주는거라고 생각 가능합니다. 코드들을 통해서 예시를 살펴봅시다! ex) x = 2 y = x y = 6 print(x) print(y) 를 하면 x = 2, y = 6이라는 결과가 나오게됩니다. 정수 2가 변수 x에 지정이되고 정수 2가 y에 지정이 되며 변수y에 지정된 값을 6으로 바꿔줍니다. ex) x = [4, 6, 8, 10, 12] y = x y[3] = 16 print(x) print(y) 리스트가 x에 지정이 되고 똑같은 리스트가 더불어 y에 지정이 되었습니다. 거기에서 y의 3번째 인덱스 값에 16을 대입하게되면 [4,6,8,10,12] 와 [4,6,8,16,12] 가 출력될거같나요? 둘다 [4,6,8,16,12..

파이썬 2021.07.16

리스트(3)

(1)리스트에서 값의 존재 확인하기 리스트 안에 찾고자 하는 값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두가지를 설명해 드리려고 하는데요, 하나는 직접 코드를 짜서 확인하는법이고 다른 하나는 내장되어 있는 문법입니다. ex) def list(example, answer): i = 0 while i < len(example): if example[i] == answer: return True i = i + 1 return False action = [20, 6, 5, 9, 12, 3, 17, 19, 25] print(list(action, 7)) print(list(action, 12)) 를 하게되면 False와 True가 출력이 될 것입니다. 파라미터에 example과 answer이 보이시나..

파이썬 2021.07.14

for반복문

(1) for 반복문 for문도 반복되는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함수입니다. for 변수 in 열거형: 실행할 명령1 실행할 명령2 . . 이러한 꼴입니다. 열거형 안에는 컨테이너, 리스트나 문자열이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실행할 명령 즉 반복되는 부분을 코드블럭이라고 부릅니다. for문과 while문은 비슷하게 작동하는데 상황에 맞는 반복문을 사용하는게 좋겠죠? for 반복문에는 조건문이 없습니다. 들여쓰기는 필수인건 매한가지구요. 콜론도 붙여야 합니다. ex) odd = [1, 3, 5, 7, 9] for number in odd: print(number) 을 하게되면 0번 인덱스에 있는 값 1이 변수 number에 지정되어 1이 출력되고 이게 계속 반복되서 9까지 출력되는 구조입니다. 이런..

파이썬 2021.07.13

말투하나 바꿨을 뿐인데

어떻게 말하면 상대의 'YES'를 이끌어 낼까 1. 사회성의 법칙 : 모든 사람이 그렇게 한다고 하면 특별한 근거가 없어도 사람들의 마음이 움직인다. 사회적 규범을 제안해서 어필하는 방법이다. 2.even a penny technicue : 부탁을 요청할 때 가급적 사소한 부탁부터 하자. 작은 부탁을 하면 상대방도 크게 부담스러워 하지 않아서 기꺼이 들어준다. 사소한 부탁이 그 이스ㅏㅇ의 호의를 베풀게 해주는 케이스가 많다. 3.오찬의 법칙 : 설득할 때 함께 먹고 마시면서 설득하면 응할 확률이 비약적으로 높아진다. 맛있는 음식을 먹으면 심리 상태가 매우 쾌적해지고 마음도 개방적이게 된다. 같이 먹는 행위는 서로의 친밀감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 4.DTAG 법칙 : 부탁을 청할때는 타당하고 확실한 ..

북리뷰 2021.07.09

리스트(2)

(1) len 길이를 뜻하는영단어 length를 줄인건데 요소가 몇개가 있는지 리턴되게 해주는 함수입니다. ex) numbers = [3, 6, 9, 12, 15] print(len(numbers)) 를 해주면 5개의 인덱스가 있으니까 5라는 값이 출력됩니다. 인덱스처럼 0부터 시작해서 4라는 값이 출력된다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그리고 길이를 확인해보고 싶어서 len을 하시면 먼저 print코드 부터 써주셔야 확인 할 수 있다는것도 기억해두세요. (2) append 추가하고싶은 인덱스가 리스트안에 들어가게 해주는 함수입니다. 추가연산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numbers.appen(n) 하면 n이 요소에 가장 오른쪽 끝에다가 추가시켜버립니다. 문자열을 추가시키는 상황이라면 따옴표 까먹지 마세요. ex) ..

파이썬 2021.07.08

리스트

(1) 리스트 리스트는 변수를 한번에 여러개 선언하게 해주는 명령어 입니다. 대괄호로 시작해서 값들을 쉼표로 잘라주고 대괄호로 끝내는 구조인데요. 정수형, 문자열 다 리스트로서 표현이 가능합니다! ex) numbers = [1, 2, 3, 4, 5] names= ["성민", "한빈", "나라", "계훈", "영훈", "수빈"] print(numbers) print(names) 각각 하나하나가 리스트들의 요소들이 됩니다. 저것들을 출력하면 당연히 리스트 그대로 나오겠죠. numbers = [1, 2, 3, 4, 5] names= ["성민", "한빈", "나라", "계훈", "영훈", "수빈"] print 시키면 위의 내용처럼 콘솔에 리스트들이 그대로 출력이 됩니다. (2) 인덱스와 인덱싱 요소의 위치를 인..

파이썬 2021.07.06

제어문

(1)while 반복문 반복문은 문자 그대로 특정한 수식이나 문자열 출력을 반복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번거로운 수작업을 거치지 않고 특정 코드만 입력해주면 컴퓨터가 알아서 해주니까 제대로 익힌다면 매우 편하게 할 수 있겠죠?? while 조건 부분: 수행 부분 구조입니다. 간단하게 표현하면 이렇게 되겠군요. 조건 부분은 불린 값으로 계산되는 식입니다. 부등식과 등식들이 많이 활용되겠죠? 수행 부분은 반복적으로 실행하고 싶은 명령들입니다. 출력, 변수선언 등등이 있는데요. 조건부분이 true면 수행부분을 실행하고 끝나면 다시 조건부분을 계산하는데 false면 while에서 나오게됩니다. 수행부분 꼭 들여쓰기 하는거 잊지 마시구요! : 콜론도 붙여주세요. while 조건 부분 에다가 ex) i = 1 wh..

파이썬 2021.07.04

추상화(2)

(1) Syntatic sugar 파이썬 문법을 이용할때 표현을 간략하게 해주는 것을 Syntatic sugar라고 부릅니다. x = x + a x += a x = x * b x *= b x = x - c x -= c x = x / d x /= d x = x % e x %= e 지정연산자를 이용하는 연산에서 어떠한 사칙연산이든 부호,등호 조합으로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습니다. (2) 스코프 스코프는 변수가 함수에서 유효하게 걸리는 범위를 의미합니다. 스코프에 따른 변수의 종류는 로컬 변수, 글로벌 변수 이렇게 두가지로 나뉘죠. 로컬 변수는 변수를 정의한 함수에서 사용됩니다. 반면에 글로벌 변수는 모든곳에서 사용 가능하죠. 예시를 통해서 두 변수들이 어떻게 작용이 되는지, 그리고 이를 통한 스코프의 정확한..

파이썬 2021.07.02

추상화

복잡한 디테일을 숨기고 주요 기능에만 신경쓰게 해주는 기술을 추상화라고 합니다. 추상화는 다음과 같은 항목들로 나눠집니다. (1) 변수 x = y 오른쪽에 있는 변수를 왼쪽에 넣는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등식 (=)을 지정연산자라 부릅니다. ex) x = 5 x = x - 2 라는 코드가 짜여져 있을때 x=5가 x-2에 대입이되어서 3이라는 결과가 다시 x로 들어가게되는 순서라고 보시면 되겠네요. x=5 >> x=3이 됩니다. (2) 함수 실행 함수를 실행하는것을 다른말로 함수를 호출한다고도 표현합니다. 저번에 살펴보았던 def 함수를 이용하면 미리 짜놨던 코드들을 함수를 실행해주면 바로 출력이 되게끔 하는 법을 배웠는데요. ex) def good(): print("중간") print("처음"..

파이썬 2021.06.30

함수와 파라미터

(1) 함수 함수는 명령을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오늘은 def를 이용하여 함수를 직접 만드는 법을 배울거에요. ex) def rain(): print("python") rain() 이 코드를 실행하면 python이라는 문자열이 출력이 됩니다. def 은 define의 줄인말로서 정의하다라는 의미입니다. 함수를 정의하여 실행시켜주는 코드이고 선언하여준 def를 다시 실행시키면 그 함수 안에 할당된 코드들이 바로 깔끔하게 실행됩니다 ;) (2)파라미터 파라미터는 함수를 사용할때 같이 쓰이는 변수입니다. 함수에 넘겨주는 값이라고 하면 더욱 간단하겠네요. ^-^ def문을 이용하면서 파라미터를 쓰는 예제를 살펴보겠습니다. ex) def rain(name): print("python") print(name) ..

파이썬 2021.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