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리스트에서 값의 존재 확인하기
리스트 안에 찾고자 하는 값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두가지를 설명해 드리려고 하는데요, 하나는 직접 코드를 짜서 확인하는법이고 다른 하나는 내장되어 있는 문법입니다.
ex)
def list(example, answer):
i = 0
while i < len(example):
if example[i] == answer:
return True
i = i + 1
return False
action = [20, 6, 5, 9, 12, 3, 17, 19, 25]
print(list(action, 7))
print(list(action, 12))
를 하게되면 False와 True가 출력이 될 것입니다.
파라미터에 example과 answer이 보이시나요? def로 list 함수를 선언해준 뒤에 반복문을 실행해줍니다.
리스트의 한 값이 answer과 같으면 True를 리턴해서 프린트 해주고 아니면 False를 리턴해서 프린트 해주는 코드입니다. 계속 i의 값이 1씩 추가되는것은 동일하구요.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하나하나 살펴봄으로서 리스트 안에 찾고자 하는 값이 있는지 알아볼 수 있습니다.
ex)
action = [20, 6, 5, 9, 12, 3, 17, 19, 25]
print(7 in action)
print(12 in action)
를 하게되면 False와 True가 출력이 될 것입니다.
상수 in 리스트 꼴을 프린트해서 값이 있으면 False, 없으면 True가 출력되게도 가능합니다.
not을 붙이면 그 반대의 결과가 되겠네요.
(2) 리스트 안의 리스트 (Nested List)
말그대로 리스트 안에 다른 리스트들로 묶여 있는 겁니다.
[ [ ], [ ], [ ], ] 대충 이러한 구조라는건데 예시를 보시면 더 이해가 쉽게 가실거에요!
ex)
grades = [['A', 'D', 'B'], ['C', 'B', 'C'], ['A', 'C', 'F']]
print(grades[0])
print(grades[2])
print(grades[0][0])
print(grades[2][1])
print(grades[1][1])
을 하게되면 각각 ['A', 'D', 'B'] ['A', 'C', 'F'] A C B 가 출력이 됩니다.
하나의 리스트 안에 3개의 리스트가 있고 그 리스트들을 조목조목 따져보니 저런 값들이 할당되어 있는 구조라고 보시면 편하겠네요.
왼쪽대괄호는 작은리스트를 부르는 거고 오른쪽대괄호는 그 안에 밸루를 부르는겁니다.
(3)reverse 메소드
리스트들의 원소들을 완전히 반대 순서로 뒤집어줍니다.
ex)
numbers = [2, 3, 9, 1]
numbers.reverse()
print(numbers)
을 하게되면 [1, 9, 3, 2] 가 출력이 됩니다.
(4)index 메소드
원소들의 할당된 인덱스를 리턴해줍니다.
ex)
people = ["성민", "민우", "준영", "고건"]
print(people.index("준영"))
print(people.index("고건"))
을 하게되면 2 와 3이 출력됩니다.
(5)remove 메소드
특정한 원소를 지워주게 하는 함수입니다.
ex)
subjects = ["국어", "영어", "수학", "과학", "사회", "정보"]
subjects.remove("사회")
print(subjects)
을 하게되면 ['국어', '영어', '수학', '과학', '정보'] 가 출력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