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while 반복문
반복문은 문자 그대로 특정한 수식이나 문자열 출력을 반복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번거로운 수작업을 거치지 않고 특정 코드만 입력해주면 컴퓨터가 알아서 해주니까 제대로 익힌다면 매우 편하게 할 수 있겠죠??
while 조건 부분:
수행 부분 구조입니다.
간단하게 표현하면 이렇게 되겠군요.
조건 부분은 불린 값으로 계산되는 식입니다. 부등식과 등식들이 많이 활용되겠죠?
수행 부분은 반복적으로 실행하고 싶은 명령들입니다. 출력, 변수선언 등등이 있는데요.
조건부분이 true면 수행부분을 실행하고 끝나면 다시 조건부분을 계산하는데 false면 while에서 나오게됩니다.
수행부분 꼭 들여쓰기 하는거 잊지 마시구요!
: 콜론도 붙여주세요. while 조건 부분 에다가
ex)
i = 1
while i ≤ 7:
i += 1
이렇게 하면 7번 출력.
구조 들여쓰기 주의하면서 살펴보세요 . 변수 i를 선언해준 다음에 바로 밑에줄에 while이 붙어서 나오고 그 다음줄에 print가 들여쓰기 된 상태로 나오죠? 마지막으로 i의 증가식에서 print에 딱 붙여져있는(처음식에서 들여쓰기된) 상태로 나오게됩니다.
(2) while 제어문 꿀팁
만약 while문의 조건 부분과 상관 없이 반복문에서 나오고 싶으면, break문을 사용하면 됩니다.
ex)
i = 110
while i <= 300:
if i % 23 == 0:
break
i = i + 1
print(i)
if의 조건을 성립시키면 break를 실행시켜서 반복문에서 나올 수 있도록 해주는 코드입니다.
i의 값이 115가 되자마자 23의 배수가 되었기때문에 break문이 실행되었고 i에 값을 1 더해주기 전에 반복문에서 나와서 값이 print로 출력된 것입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수행 부분을 중단하고 바로 조건 부분을 확인하고 싶으면 continue문을 쓰면 됩니다.
ex)
i = 0
while i < 9:
i = i + 1
if i % 2 == 1:
continue
print(i)
i가 홀수가 되어버려서 나머지가 1이 생기게 된다면 출력하지 않고 컨틴유를 타서 바로 조건부분으로 들어가게됩니다. 그래서 거기서 i에 1을 추가시키고 나머지가 1이 생기지 않는 짝수가 되면 i의 값을 출력하게 끔 하는 구조입니다.
2 4 6 8이 나란히 출력되겠네요.
(3) if 조건문
if는 만약이라는 뜻이고
else는 그렇지 않으면 이라는 뜻입니다.
while 문 구조랑 매우 비슷하죠?
if 조건 부분:
수행 부분
if도 불린값으로 계산되는 식이구요.(부등식,등식 같은 명제들)
얘도 콜론 필수고 수행부분 들여쓰기 해야하니까 실수하지 마시길...
if는 반복하는게 없어서 while보다 훨씬 간단합니다
if 충족 못하면 else가 출력이 되고 else도 없다면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습니다.
경우의 수가 너무많아지면 else랑 if가 개 더러워짐...
ex)
i = 5
if i <= 10:
else:
하면 print가 출력이 되는거고 만약에 조건 성립을 안한다? (i의 값이 11이상이면) 그러면 else가 출력됩니다.
(4) elif문
엘리프문을 쓰면 깔끔합니다 ^오^
else문을 여러개 사용할 때 간단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else대신 elif를 쓰는건데요.
if xxxxxx
xxxx
elif xxxxxx
xxxx 이러한 구조입니다. 실제 예시를 살펴보시죠.
ex)
if tall >= 180:
print("키다리")
elif 180 > total >= 150:
print("휴먼")
elif 150 > total >= 120:
print("난쟁이")
절대로 비하발언이 아니니 오해하시면 안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