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len
길이를 뜻하는영단어 length를 줄인건데 요소가 몇개가 있는지 리턴되게 해주는 함수입니다.
ex)
numbers = [3, 6, 9, 12, 15]
print(len(numbers))
를 해주면 5개의 인덱스가 있으니까 5라는 값이 출력됩니다.
인덱스처럼 0부터 시작해서 4라는 값이 출력된다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그리고 길이를 확인해보고 싶어서 len을 하시면 먼저 print코드 부터 써주셔야 확인 할 수 있다는것도 기억해두세요.
(2) append
추가하고싶은 인덱스가 리스트안에 들어가게 해주는 함수입니다. 추가연산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numbers.appen(n) 하면 n이 요소에 가장 오른쪽 끝에다가 추가시켜버립니다.
문자열을 추가시키는 상황이라면 따옴표 까먹지 마세요.
ex)
numbers.append(18)
print(numbers)
를 하면 [3, 6, 9, 12, 15, 18] 이 출력됩니다. 18이라는 수가 제일 오른쪽 끝에 추가됩니다.
(3) del
삭제를 뜻하는 delete 를 줄인 del에 대해서 살펴보려 합니다. 인덱스를 지우려면 del 리스트 [n] 하면 됩니다. n번째 인덱스를 지워버리겠다는 뜻이구요, 하나씩 앞으로 당겨지도록 수행합니다.
ex)
del numbers [4]
를 하게되면 [3, 6, 9, 12, 18] 로 리스트가 재편성됩니다.
(4) insert
인설트하면 인덱스에 값을 삽입 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 append 하고는 다르죠? 그냥 추가하고싶은 인덱스 값을 제일 오른쪽에 추가시키는게 append라면 insert는 순서,값을 정해서 넣어 줄 수 있으니까요.
삽입연산이라고 불립니다.
ex)
numbers. insert(1, 21)
print(numbers)
를 하면 [3, 6, 21, 9, 12, 18] 이렇게 됩니다.
삽입하고자 하는 인덱스의 오른쪽에 추가된다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5) sorted, sort
인덱스 정렬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는데 각각 솔티드, 솔트라고 부릅니다.
솔티드 함수는 기존의 리스트를 절대로 건드리지 않습니다! 정렬된 새로운 리스트를 리턴할 뿐입니다.
솔트는 아무것도 리턴하지 않고 기존 리스트를 정렬합니다.
글로만 보는것 보단 직접 어떤식으로 작동되는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겠죠?
ex)
numbers = [3, 6, 21, 9, 12, 18]
print(sorted(numbers))
을 하면 리스트가 새로이 정렬됩니다.
[3, 6, 9, 12, 18, 21]
이상태에서는 numbers를 다시 프린트 하게되면 원래있었던 리스트 내용 그대로 나오게됩니다.
sorted(numbers) 하면 정렬된 새로운 리스트가 리턴되는데 숫자가 작은 순서에서 높은 순서대로 차례대로 진행되게끔 만듭니다.
쉼표 쓰고 revers = true 해주면 반대로 정렬 큰순서에서 작은순서로진행됩니다.
이번에는 sort의 경우를 살펴봅시다.
ex)
numbers = [3, 6, 21, 9, 12, 18]
numbers.sort()
print(numbers)
을 하면 정렬된 리스트가 나오게 됩니다.
[3, 6, 9, 12, 18, 21]